본문 바로가기
알아두면 쓸모 있는 영어 표현

오늘의 영어 표현 : 곤란한 상황을 말하는 3가지 표현, In a pickle, in a jam, in a bind

by 띵띵. 오늘도 하나 배웠다 2025. 5. 7.

안녕하세요. 

 

띵띵입니다.

 

오늘은 "곤란한 상황에 처하다"는 의미를 가진 관용표현  in a pickle, in a jam, in a bind를 소개드립니다. 이 세 표현은 비슷한 뜻을 가지고 있지만, 상황이나 어감에서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. 


곤경에 처하다 ( in a pickle, in a jam, in a bind)

1. In a pickle – 곤란한 상황에 처하다, 난처하다

- 이 표현은 예상치 못한 문제나 난처한 상황에 빠졌을 때, 사용하는 표현입니다. 다소 웃기거나 민망한 상황에 자주 쓰입니다. 

이 표현은 16세기 영국에서 유래했습니다. 당시에는 피클(절인 채소)에 여러 재료를 섞어 넣었는데, 이 혼란스럽고 이상한 상태를 “피클 속에 있다”라고 표현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. 

 

예문 1 :

A: I forgot my wallet at home and now I can’t pay for lunch.
B: Oh no, you’re really in a pickle!

A: 지갑을 집에 두고 와서 점심값을 못 내겠어.
B: 어머, 진짜 난처한 상황이네!

 

예문 2 (미드 속 예시)

Will & Grace – 시즌 3, 에피소드 8 "Lows in the Mid-Eighties"

Jack: Yeah, guys, our little Pammy’s in a pickle, and, uh, shouldn’t we help her find her way back to a place called hope?
Karen: Honey, she’s wearing synthetic plaid. It’s a four-day drive and a boat trip to a place called Hope.

Jack: 그래, 얘들아, 우리 귀여운 패미가 지금 정말 곤란한 상황이야. 우리가 그녀가 ‘희망’이라는 곳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하지 않겠어?
Karen: 자기야, 걔 지금 합성 체크무늬 입고 있어. ‘희망’까지는 차로 나흘 가고 배까지 타야 가는 곳이야.

 


2. In a jam – (특히 교통, 시간, 약속 관련) 곤경에 빠지다 

- 'Jam'은 원래 끼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. 'in a jam'은 무언가에 꼼짝없이 막혀버린 상황, 특히 교통, 일정, 계획 등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 자주 사용됩니다.  

- 자동차가 꽉 막힌 ‘트래픽 잼(traffic jam)’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, 20세기 초반부터 은어처럼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. 

 

예문 1

A: Hey, can you pick me up? I'm in a jam—my car won't start and I'm already late for work.
B: Oh no! Hang tight, I'll be there in 10 minutes.


A: 야, 나 좀 데려다줄 수 있어? 지금 완전 곤란해. 차가 시동이 안 걸려, 근데 벌써 회사에 늦었어.
B: 어머, 걱정 마! 10분 안에 갈게.

 

예문 2 (미드 속 예시)

Modern Family – 시즌 2, 에피소드 6 "Halloween"

Claire: I’m in a jam. I promised two friends to meet them at the same time.
Phil: Yikes! Good luck getting out of that one.

Claire: 나 큰일 났어. 두 친구랑 같은 시간에 약속을 잡아버렸어.
Phil: 이런! 그 상황에서 빠져나오기 쉽지 않겠네. 행운을 빌어!

 


3. In a bind – 선택의 여지가 없는 난처한 상황  

- 'Bind'는 묶다, 얽매다는 뜻입니다. 'in a bind'는 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고, 압박감이 큰 상황에서 사용됩니다. 해결책이 거의 없어 보일 때 쓰이는 표현입니다.  

- 이 표현은 'bound' 상태, 즉 몸이나 행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유래했습니다. 문학 작품에서 ‘a tight bind’는 곧 꼼짝 못하는 상태를 뜻하기도 했죠.

 

예문 1

A: My car broke down and I have a job interview in 30 minutes.
B: Oh man, you’re really in a bind.

A: 차가 고장 났는데 30분 후에 면접이 있어.
B: 와 진짜 심각한 상황이네

 

예문 2 (미드 속 예시)

Breaking Bad – 시즌 2, 에피소드 12 "Phoenix"

Jesse: I’m in a bind. I need to come up with the money by tomorrow.
Walt: That’s not my problem.

Jesse: 나 진짜 곤란해. 내일까지 돈을 마련해야 해.
Walt: 그건 내 알 바 아니야.

* 세 표현의 비교 요약

In a pickle 난처하고 우스꽝스러운 상황 소소한 실수, 당황스러운 상황
In a jam 막히고 어쩔 수 없는 상황 시간 충돌, 교통체증, 약속 문제
In a bind 선택지가 거의 없는 심각한 상황 급한 결정, 위기상황, 딜레마
 

 마무리

오늘은 일상 영어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 3가지 ' in a pickle', 'in a jam', 'in a bind'에 대해 소개드렸습니다. 이 세 표현은 모두 '곤란하다'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, 상황과 감정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쓰입니다. 위와 같은 곤란한 상황이 없는 무탈한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.  Take care ~